지난 8월 발생한 은행의 신규연체가 연체채권 정리규모를 웃돌면서 은행 대출 연체율이 소폭 상승했다.
24일 금융감독원은 '8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을 통해 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 대출 연체율이 0.61%로 전월 말(0.57%) 대비 0.04%p 상승했다고 밝혔다.
8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9천억원으로 전월(2조8천억원) 대비 1천억원 증가했고,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8천억원으로 전월(1조6천억원) 대비 2천억원 증가했다.
8월 중 신규연체율(2025년 8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2025년 7월 말 대출잔액)은 0.12%로 전월(0.11%) 대비 0.01%p 상승했다.
부문별로 8월 말 기준 기업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월 말(0.67%) 대비 0.06%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5%로 0.01%p 상승했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9%로 0.07%p 상승했다. 중소법인의 연체율은 0.97%로 0.07%p 상승했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8%로 0.08%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5%로 0.02%p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0%로 0.01%p 상승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0.92%로 0.06%p 상승했다.
금감원은 향후 은행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신규연체 발생액 대비 정리 규모가 적고 취약부문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상·매각,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국내은행 원화대출 부문별 연체율 추이 (단위 : %, %p)

